'도의적으로', '도의적인 차원에서 ~~ 하기로 했다' 뉴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현인데요. 이 도의적이라는 말은 무슨 말일까요? 어디서 온 말일까요? 오늘은 도의적이다라는 표현의 어원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인도적이라는 말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의적' 뜻은?
道 길 도 義 옳을 의 的 과녁 적
사람이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덕적 의리가 있는
여기에서 나오는 '도의적 책임'이라는 표현은
: 개인의 양심이나 사회적 통념에 의한 윤리적인 책임
입니다.
법적인 옳고 그름을 떠나서, <사람이라면> 지켜야 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깐. 정답은 없는 것이지요. 도의적인 것의 기준은 자기 자신입니다.
누구는 도의적인 책임에 대해 공감을 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옳게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 한. 이 도의적이라는 표현은 계속 사용될 것 같습니다.
'인도적' 뜻은?
인권 놓고서는 그 어떤 것도 인권보다 우선시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국제 사회에 중요한 원칙이 있는데, '주권'에 대한 것과, '불간섭'에 대한 것, 그리고 무력사용의 금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것을 어기는 것은 룰(Rule)을 어기는 것인데요. 인도적 차원에서의 접근은, 때로는 이러한 원칙과 룰을 무시하고 이에 도전하는 상황을 만들기도 합니다.
보스니아 전쟁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가 있는데, 민간인 학살 등 인권 침해의 정도가 그 도를 넘어섰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의 원칙을 무시하고서라도 인원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공화국 등이 주축이 되어 벌어진 전쟁이 길어지고, 민간인 학살 등 무고한 희생이 많아지자 UN평화유지군 등이 개입하여, 전쟁을 중재하고, 민간인을 보호하는 등 구호 작전을 펼쳤다
댓글